반응형

안경원 창업 경영

728x90

안경사란

안경사는 1987.11.28의료기사법 공포되어 국가면허시험에 의해 면허를 취득해야만 하는
  
안경사제도가 도입되고 난 후  전문 보건인으로서의 위상이 확립됨. (1989102일 제1)

안경 조제 업무뿐만 아니라 안경도수를 조정하기 위한 시력검안 업무를 할 수 있음.
 
6세이하의 어린이는 제외. (의료기사등에 관한법률 시행령 제28)

▶ 안경사는 국민의 안락한 시생활 제공을 통해 문화생활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며
 
건전한 시력확보는 작업능률을 향상시킴으로 국가산업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안경사는 시력보정용 안경의 조제 및 판매를 하는 전문 보건의료인이며  국민 안보건향상 및 시력증진에 기여하는 전문가.

안경사는 안경(시력보정용에 한정한다. 이하 같다)의 조제(調製) 및 판매
콘택트렌즈(시력보정용이 아닌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판매에 관한 다음의 구분에 따른 업무를 수행한다.

1. 안경의 조제 및 판매 (다만, 6세 이하의 아동을 위한 안경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조제ㆍ판매해야)
2. 콘택트렌즈의 판매 (다만, 6세 이하의 아동을 위한 콘택트렌즈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판매해야 함)
3.
안경ㆍ콘택트렌즈의 도수를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는
 
자각적(주관적) 굴절검사로서 약제사용하지않는 검사
4. 안경ㆍ콘택트렌즈의 도수를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는
 
타각적(객관적) 굴절검사로서 약제사용하지않는 검사 중 자동굴절검사기기 이용한 검사
5. 그 밖에 안경의 조제 및 판매와 콘택트렌즈의 판매에 관한 업무
 
(출처 :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및 [별표 1])

 

728x90


목적: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안경원 창업의식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어 창업교육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지역 3개 대학의 안경광학과 재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SPSS 통계 분석을 하였다. 

결과: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안경원 창업예정도는 80.1%로 매우 높았다. 

창업 시기는 안경원에 6년 이상 근무한 후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37.0%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p <. 001)과 안경사친인척 유무(p <. 05)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창업형태는 단독창업의 형태가 37.0%로 높았으며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1). 

창업규모는 중형규모(30평형)가 43.5%로 가장 높았고 창업지역은 수도권, 경기지역이 54.4%, 창업장소는 역세권이 40.8%로 높게 나타났다.


안경원 비창업 사유로는 안과. 안경업체의 취업 때문이 35.7%로 높게 나타났고 비창업자의 진로는 안경원 근무가
35.7%로 나타났다. 

결론: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창업예정도는 매우 높았으며 이들의 창업 준비를 위한 창업교육이 요구된다.

 

안경원 창업과 창업절차

창업 : 인간이 보다 나은 경제적 생활을 영위하도록 도모하기 위해 기업을 새로이 설립하는것

창업자 : 창업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고 사회에 기여하고자 함

- 창업은 화려한 그 이면에는 각종 위험이 도사리고 있어 창업자의 강한 인내와 희생이 필요로 함

   따라서 창업은 명확한 창업 이념과 건전한 창업 정신이 전제되어야 성공적인 창업을 달성할수 있음

- 창업자가 사업의 기회를 구체화하고 경영자원을 투입하여
고객의 욕구와 필요에 부응하는 재화나 용역을  창출하고자 기업을 새로이 설립하는것을 말함

- 창업의 일차적 목표
  1)
인간이 보다 풍요롭고, 보다 안락한 경제생활을 영위하도록 조력하는데 있고
  2)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창업의 특성상 자원 투입에 따른 산출의 불확실성과 예측의 어려움으로 인해
     
창조적이며 모험적인 성격을 가짐

-
안경원 창업 :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12조 제1항에 의하여 법적 자격을 갖춘 안경사가
국민의 안 보건에 기여 하고자 안경의 조제 및 판매를 하기 위해 안경원을 개설하는것을 말함

12(안경업소의 개설등록)
안경사가 아니면 안경을 조제하거나 안경 및 콘택트렌즈의 판매업소(이하 “안경업소”라 한다)를 개설할 수 없다.

안경사는 1개의 안경업소만을 개설할 수 있다.

안경업소를 개설하려는 사람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개설등록을 하여야 한다. <개정 2013. 6. 4.>

3항에 따라 안경업소를 개설하려는 사람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및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누구든지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판매 등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
개정 2011. 11. 22., 2016. 5. 29.>

  1.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전자상거래 및 통신판매의 방법

  2. 판매자의 사이버몰(컴퓨터 등과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재화 등을 거래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가상의 영업장을 말한다) 등으로부터
     
구매 또는 배송을 대행하는 등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방법

⑥ 안경사는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안경업소에서만 판매하여야 한다. <신설 2011. 11. 22.>

안경사는 콘택트렌즈를 판매하는 경우 콘택트렌즈의 사용방법과 유통기한 및 부작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
신설 2011. 11. 22., 2016. 5. 29.>

15(안경업소의 시설기준)

법 제12조제4항에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및 장비”란
채광과 환기가 잘 되고 청결하며 안경(시력보정용으로 한정한다)의 조제 및 판매와
콘택트렌즈(시력보정용이 아닌 것을 포함한다)의 판매에 적합한 시설과 다음 각 호의 장비를 말한다. <개정 2018. 12. 20.>

1. 시력표(vision chart)

2. 시력검사 세트(phoroptor and unit set)

3. 시험테와 시험렌즈 세트(trial frame and trial lens set)

4. 동공거리계(PD meter)

5. 자동굴절검사기(auto refractor meter)

6. 렌즈 정점굴절력계(lens meter)

[전문개정 2015. 2. 3.]

 

 

2025년 1학기 안경원창업경영 (중간고사자료).pdf
6.84MB

 

 

안경원 창업의 유형

1) 신설창업
- 안경사가 새로운 안경원을 설립하는것을 말함
-
장점 : 제품 및 서비스, 입지, 설비, 공급자등과 관련된 의사결정이 자유롭고, 용이함
-
단점 : 자금조달, 신용확보가 곤란, 경영활동에 효과적으로 지원할 직원의 고용이 쉽지않음
             
경쟁안경원이 이미 진출한 경우 애호도 높은 고객 및 유능한 안경사 확보에 어려움

2) 기존 안경원 인수- 기존 안경원을 인수하여 사업을 시작하는것
-
장점 : 철저한 분석과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인수하면 상당한 혜택이 많음
-
단점 : 낡은 인테리어와 검안설비, 불필요한 재고품, 불리한 계약등이 부담

3) 프랜차이즈- 가맹점으로 하여금 본사의 상표, 기업 인지도, 창설 및 관리방식등을 활용할수 있게 하고 일정한 로열티를 받는것을 말함
-
장점 : 제품과 서비스를 본사에서 검증된 방법으로 제공하므로 사업을 시작하는데 따른 위험을 줄일수 있음
-
단점 : 가맹료, 초기비용, 로열티 때문에 수익이 일정 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영세업체의 경우에는 감당하기 어려움

 

창업의 3대요소

1) 창업자
- 창업을 진행하는 주체로서 사업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핵심적 요소
-
경영자 판단과 합리적 사고, 마케팅 능력, 정신적, 육체적 건강등을 갖추어야 함
-
지속적이며 강력한 경영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확고한 경영철학이 요구됨

2) 사업아이템- 사업 아이디어로서 창업을 통해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것인가에 관한 사업 내용을 말함
-
기업성장과 수익모델을 뒷받침할수 있는 차별화되고 경쟁력있는 사업아이템은 창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임


3)
자금-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인력, 설비, 기술, 원자재 등 투입요소를 동원하는데 이용되는 원천적 자원
-
충분한 소요자금 계상 및 안정적 자금 조달은 창업 성공의 중요한 관건임

 

 

728x90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