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년 마산대학교 안경광학과 1학년 B반 용어정리

728x90

2025년도 마산대학교 안경광학과 1학년 안경학 개론 용어정리 입니다.

안경조제의 가공에 대한 정의

- 안경사가 공산품으로 제조된 여러 안경테와 안경렌즈 가운데서 
안경을 필요로 하는 각 손님에게 딱 맞는 안경테와 렌즈를 
광학적, 역학적 그리고 미적으로 설계하고 
손님의 얼굴에 맞게 테를 조정하는, 즉 피팅을 하는 것을 뜻한다.

안경조제 및 가공의 3대 요소인 광학적요소, 해부학적 요소, 미적인 요소에 대해서 설명을 해 두었습니다.

1) 광학적 요소

-조준선이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 또는 프리즘처방의 설계점을 지나도록 하여 
불필요한 프리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함 (회선점 조건, 회전점 조건)
-> 광학적 요소의 핵심인 조가 PD, 조가 OH를 정확하게 측정, 설계, 가공을 요함
각막정점과 안경렌즈의 상측정점 간의 거리인 정점간 거리가 정확하여야 처방의 내용을 충족 시킬수 있음
-> 안경테의 렌즈삽입부크기를 적절하게 제한하고 그에 맞는 안경렌즈의 곡률,
기본커브 및 렌즈 재질의 굴절률의 선택이 필요로 함

2) 해부학적요소

좁은 의미의 피팅으로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 및 설계점 위치등 
광학적요소의 위치변화가 없도록 하면서 안경테가 얼굴의 접촉부위에 
균등하게 중력이 가해져 접촉 부위를 누르거나 아프게 하지 않도록 
안경테를 조정하고 고정시키는것 
해부역학적 요소의 피팅은 이론적인 것보다 숙련이 요구되는것으로
조제 및 가공에서 가장 중요하고 많은 경험이 필요로 함

3) 미적요소

영업적인 측면에서만 보면 이 미적요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얼굴형, 머리형에 어울리고 안경을 썼을때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주도록 하는
안경테 및 렌즈를 선택하여 단정하게 피팅하는것을 말함
미적요소 또한 패션적인 성격이 강하여 위 해부학적 요소의 피팅과 같이 
이론적으로 정리하는것이 간단하지는 않음
안경을 쓰는 사람의 개성이 다르고 옷의 형태와 색깔, 특히 유행에 민감하게 변하는 것이 미적감각이므로 
안경테의 선택은 토탈패션으로 접근하여야 함

그 다음으로 우리의 안구에 대한 기본적인 개요에 대해서 설명을 해 두었습니다.

위치: 안와의 전방부
지방조직과 고유결합조직=> 외부 또는 자체의 충격으로부터 안구를 보호
정상적인 성인의 평균직경 24mm
가로직경 24mm > 전후직경 > 수직직경 순으로 측정
출생시 17.5mm(선천축성원시: +2.50D), 사춘기 20-21mm, 성인 23.5mm
안구의 무게 약 7g정도, 부피 6.5CC, 비중 1.07인 구형
안구의 회전반경은 약 50°정도
안구 전체가 약+58.64D 볼록렌즈 기능

그리고 기본적인 단어인 굴절률, 버젼스, 정적굴절상태, 동적굴절상태, 광학계, 원점, 근점, 조절, 프리즘 등은 꼭 숙지해 두었으면 하는 용어라서 서두에 기술해 두었습니다.

안경 처방을 하기 위한 눈의 상태를 정시와 비정시로 구분해서 설명해 두었는데

정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해 두었습니다.

① 정적굴절상태(조절휴지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중심와에 상을 맺는 눈
② 정적굴절상태(조절휴지상태)에서 상측초점위치가 망막과 일치하는 눈

근시

① 정적굴절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앞에 결상하는 눈.
② 조절휴지상태에서 망막에 결상하는 외계의 물점(원점)이 눈 앞 유한거리에 있는 눈

근시가 생기는 원인에 대해서 분류해 보았습니다

① 축성근시: 안축의 길이가 정상인보다 길어서 생기는 근시
    안축이 1mm증가-> 근시도 3D정도 증가

② 굴절성근시: 눈의 굴절력이 크기 때문에 생기는 근시의 상태
   각막근시: 각막이 곡률반경이 작을때(=각막의 굴절력이 강할 때)_ex)원추각막
   수정체근시: 수정체가 전방으로 탈구되었을때(위치성근시)
   핵성근시: 백내장초기, 당뇨병, 수정체핵이 경화되어 굴절력이 강하게 되었을때

근시는 유전적인 요인도 있지만 진행정도에 따라서 단순근시와 악성근시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① 단순근시(학교근시, 정지성근시) - 후천성 근시
   · 약10대 시작해서 25세 정도 근시가 정지되는것
   · 강도근시로 진행되지는 않는다

② 악성근시(진행성근시)-선천성 근시
  · 5세(단순근시보다 일찍시작)에 시작해서 강도근시(S-6.00D초과) 진행
  · 선천적 요인
  · 전인구의 1%정도

★안저에 다음과 같은 변성이 일어남★
  ㉠ 이측 코누스: 시신경 유두의 귀쪽에 초승달 모양의 백색 반월이 생김
  ㉡ 공막확장: 안축의 연장으로 공막이 얇아져서 안압으로 공막이 후방으로 돌출
  ㉢ 초자체 변화: 초자체가 혼탁하게 되어 비문증을 호소
  ㉣ 맥락막, 망막 위축

또한 원시인 상태로 보정을 하지 않았을 경우 조절력 개입으로 근시로 볼수 있는데 이를 가성근시(위근시)라고 합니다.

· 근업을 장시간 했을때
 (모양체근 수축-> 모양소대 이완->수정체 부품-> 굴절력이 평상시보다 증가)
· 원시를 교정하지 않았을때
· 히스테리가 있을때

· 구별법
-조절마비 굴절 검사: 모양체 긴장을 풀어주는 안약을 점안(Atropine)후 AR측정
-> 모양체 긴장이 없어지므로 가성근시라면 근시상태가 없어짐
-> 진성근시라면 이러한 안약을 점안해도 굴절상태는 별다른 변동이 없다.

· 치료법
 ① 볼록렌즈의 장용법(운무법)
 ② 망원훈련, 수정체 체조법(1-2시간 원방응시를 연습시키면 조절긴장을 이완)

그리고 마지막으로 합병근시가 있습니다.

합병근시
· 다른병(당뇨병) 때문에 생기는 근시
· 초기 백내장
· 임신중일때

근시의 정도
 경도근시: S-2.00D 미만
 중등도근시: S-2.00D ~ S-6.00D
 강도근시: S-6.00D 초과

※ 근시는 오목렌즈로 교정, 눈을 찡그리는 습관이 있다, 안정피로를 호소(다른 질환보다 작음)

다음시간에는 원시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B반 1학기 안경조제가공실습 1 (업로드용).pdf
11.86MB


2014년 마산대학교 시간강사
2015-22년 김천대학교 겸임조교수 & 동문장학금 지급
2018년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과정 입학
2023년 마산대학교 시간강사
2024년 마산대학교 겸임교수 

현) 2014년 다비치안경 대구동성로점 대표안경사 ~

 

 

728x90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