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광학과 추천 김천대학교
설마 이렇게 답변을 주시면 여러분들은 어떻게 설명하실수 있나요??
그래서 안경광학의 기본적인 공부를 해야 합니다.!!!!
안경처방서 해석 및 가공실습 1
1. 안구의 개요
• 위치: 안와의 전방부
• 지방조직과 고유결합조직=> 외부 또는 자체의 충격으로부터 안구를 보호
• 정상적인 성인의 평균직경 24mm
• 가로직경 24mm > 전후직경 > 수직직경 순으로 측정
• 출생시 17.5mm(선천축성원시: +2.50D), 사춘기 20-21mm, 성인 23.5mm
• 안구의 무게 약 7g정도, 부피 6.5CC, 비중 1.07인 구형
• 안구의 회전반경은 약 50°정도
• 안구 전체가 약+58.64D 볼록렌즈 기능
2. 정시 VS 비정시
정시
① 정적굴절상태(조절휴지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중심와에 상을 맺는 눈
② 정적굴절상태(조절휴지상태)에서 상측초점위치가 망막과 일치하는 눈
비정시(근시,원시,난시): ① 정적굴절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중심와에 상을 맺지 못하는 눈
② 정적굴절상태에서 상측초점위치가 망막과 일치하지 않는 눈.
근시
① 정적굴절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앞에 결상하는 눈.
② 조절휴지상태에서 망막에 결상하는 외계의 물점(원점)이 눈 앞 유한거리에 있는 눈
* 생기는 원인에 따른 분류
① 축성근시: 안축의 길이가 정상인보다 길어서 생기는 근시
안축이 1mm증가-> 근시도 3D정도 증가
② 굴절성근시: 눈의 굴절력이 크기 때문에 생기는 근시의 상태
각막근시: 각막이 곡률반경이 작을때(=각막의 굴절력이 강할 때)_ex)원추각막
수정체근시: 수정체가 전방으로 탈구되었을때(위치성근시)
핵성근시: 백내장초기, 당뇨병, 수정체핵이 경화되어 굴절력이 강하게 되었을때
*진행정도에 따른 분류
① 단순근시(학교근시, 정지성근시)-후천성 근시
· 약10대 시작해서 25세 정도 근시가 정지되는것
· 강도근시로 진행되지는 않는다
② 악성근시(진행성근시)-선천성 근시
· 5세(단순근시보다 일찍시작)에 시작해서 강도근시(S-6.00D초과) 진행
· 선천적 요인
· 전인구의 1%정도
★안저에 다음과 같은 변성이 일어남★
㉠이측 코누스: 시신경 유두의 귀쪽에 초승달 모양의 백색 반월이 생김
㉡공막확장: 안축의 연장으로 공막이 얇아져서 안압으로 공막이 후방으로 돌출
㉢초자체 변화: 초자체가 혼탁하게 되어 비문증을 호소
㉣맥락막, 망막 위축
*가성근시(위근시)
· 근업을 장시간 했을때
(모양체근 수축-> 모양소대 이완->수정체 부품-> 굴절력이 평상시보다 증가)
· 원시를 교정하지 않았을때
· 히스테리가 있을때
· 구별법
-조절마비 굴절 검사: 모양체 긴장을 풀어주는 안약을 점안(Atropine)후 AR측정
-> 모양체 긴장이 없어지므로 가성근시라면 근시상태가 없어짐
-> 진성근시라면 이러한 안약을 점안해도 굴절상태는 별다른 변동이 없다.
· 치료법
① 볼록렌즈의 장용법(운무법)
② 망원훈련, 수정체 체조법(1-2시간 원방응시를 연습시키면 조절긴장을 이완)
*합병근시
· 다른병(당뇨병) 때문에 생기는 근시
· 초기 백내장
· 임신중일때
*근시의 정도
경도근시: S-2.00D 미만
중등도근시: S-2.00D ~ S-6.00D
강도근시: S-6.00D 초과
※ 근시는 오목렌즈로 교정, 눈을 찡그리는 습관이 있다, 안정피로를 호소(다른 질환보다 작음)
원시
① 정적굴절상태(=무조절상태, 조절휴지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뒤에 결상하는 눈.
② 상측초점위치가 망막 위에 있지 않음
*생기는 원인에 따른 분류
① 축성원시: 안축의 길이가 표준치보다 짧아서 생기는 원시
신생아눈(17.5mm: 선천성 축성원시 S+2.50D)
② 굴절성원시: 굴절력이 표준치보다 작아서 생기는 원시
각막원시: 선천적으로 각막의 곡률반경이 크거나
후천적으로 각막실질염이후 각막이 편평해지기 때문에 생기는것
수정체 원시: 수정체 전후면의 만곡도 감소에 의해서 생기는것
무수정체안: 강도의 원시
* 원시도와 조절력에 의한 분류(1866년 "Donder")
① 수의원시 (조절력>>원시도, 1/3정도의 조절력 소모)
·
약도 원시(S+2.00D미만)을 의미
·
자신의 조절력이 원시도보다 매우 커서 조절력이 풍부해서 나안으로 원방, 근방을 선명하게 볼수 있는 원시
·
볼록렌즈가 필요 없다.
·
단 안정피로를 호소하면 볼록렌즈 처방을 해 주어야 함.
② 상대 원시 (조절력=원시도, 100% 조절력 소모)
·
중등도 원시로써 조절력이 원시도보다 약간 많아서 원방, 근방의 물체를 주시할 때 자신의 조절력을 다 소모
·
조절성 폭주가 강하게 작용하여 내사위, 내사시 발명 가능
③ 절대 원시 (조절력<<원시도)
·
강도원시도 자기의 조절력으로 나안 측정 불가 * 볼록렌즈 착용
조절긴장에 따른 분류
① 전원시:
조절마비제(Atropine) 점안하여 조절기능을 완전히 마비시킨 후 시력이 정상으로 되는
가장 강한 볼록렌즈의 도수(Diopter)
② 현성원시:
조절마비제(Atropine)를 사용하지 않고 정상시력을 얻을수 있는 가장 강한 볼록렌즈의 도수(Diopter)
③ 잠복원시 : 전원시-현성원시의 차
·
잠복원시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현성원시는 증가해서 전원시에 접근한다.
※
원시는 볼록 렌즈로 처방, 원시도가 강할 경우 장시간에 걸쳐 근업할 경우 전두부와 안부의 압박감 또는 통증을 호소(조절성 안정피로)
그 뒤 너무 많은 자료가 있어서 파일로 다운 받아서 살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