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대학교 안경광학과 수업 자료] 정시 VS 비정시
정시 VS 비정시
정시: ① 정적굴절상태(조절휴지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중심와에 상을 맺는 눈
② 정적굴절상태(조절휴지상태)에서 상측초점위치가 망막과 일치하는 눈
비정시(근시,원시,난시): ① 정적굴절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중심와에 상을 맺지 못하는 눈
② 정적굴절상태에서 상측초점위치가 망막과 일치하지 않는 눈.
근시
① 정적굴절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앞에 결상하는 눈.
② 조절휴지상태에서 망막에 결상하는 외계의 물점(원점)이 눈 앞 유한거리에 있는 눈
생기는 원인에 따른 분류
① 축성근시: 안축의 길이가 정상인보다 길어서 생기는 근시
안축이 1mm증가-> 근시도 3D정도 증가
② 굴절성근시: 눈의 굴절력이 크기 때문에 생기는 근시의 상태
각막근시: 각막이 곡률반경이 작을때(=각막의 굴절력이 강할 때)_ex)원추각막
수정체근시: 수정체가 전방으로 탈구되었을때(위치성근시)
- 핵성근시: 백내장초기, 당뇨병, 수정체핵이 경화되어 굴절력이 강하게 되었을때
가성근시(위근시)
가성근시 원인
· 근업을 장시간 했을때
(모양체(섬모체)근 수축-> 모양소대 이완->수정체 부품-> 굴절력이 평상시보다 증가)
· 원시를 교정하지 않았을때
· 히스테리가 있을때
구별법
-조절마비 굴절 검사: 모양체 긴장을 풀어주는 안약을 점안(Atropine)후 AR측정
-> 모양체 긴장이 없어지므로 가성근시라면 근시상태가 없어짐
-> 진성근시라면 이러한 안약을 점안해도 굴절상태는 별다른 변동이 없다.
치료법
① 볼록렌즈의 장용법(운무법)
② 망원훈련, 수정체 체조법(1-2시간 원방응시를 연습시키면 조절긴장을 이완)
합병근시
· 다른병(당뇨병) 때문에 생기는 근시
· 초기 백내장
· 임신중일때
근시의 정도
- 경도근시: S-2.00D 미만
- 중등도근시: S-2.00D ~ S-6.00D
- 강도근시: S-6.00D 초과
※ 근시는 오목렌즈로 교정, 눈을 찡그리는 습관이 있다, 안정피로를 호소(다른 질환보다 작음)
원시
① 정적굴절상태(=무조절상태, 조절휴지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뒤에 결상하는 눈.
② 상측초점위치가 망막 위에 있지 않음
생기는 원인에 따른 분류
① 축성원시: 안축의 길이가 표준치보다 짧아서 생기는 원시
신생아눈(17.5mm: 선천성 축성원시 S+2.50D)
② 굴절성원시: 굴절력이 표준치보다 작아서 생기는 원시
- 각막원시: 선천적으로 각막의 곡률반경이 크거나
- 후천적으로 각막실질염이후 각막이 편평해지기 때문에 생기는것
- 수정체 원시: 수정체 전후면의 만곡도 감소에 의해서 생기는것
- 무수정체안: 강도의 원시
원시도와 조절력에 의한 분류(1866년 "Donder")
① 수의원시 (조절력>>원시도, 1/3정도의 조절력 소모)
· 약도 원시(S+2.00D미만)을 의미
· 자신의 조절력이 원시도보다 매우 커서 조절력이 풍부해서 나안으로 원방, 근방을 선명하게 볼수 있는 원시
· 볼록렌즈가 필요 없다.
· 단 안정피로를 호소하면 볼록렌즈 처방을 해 주어야 함.
② 상대 원시 (조절력=원시도, 100% 조절력 소모)
· 중등도 원시로써 조절력이 원시도보다 약간 많아서 원방, 근방의 물체를 주시할 때 자신의 조절력을 다 소모
· 조절성 폭주가 강하게 작용하여 내사위, 내사시 발명 가능
③ 절대 원시 (조절력<<원시도)
· 강도원시도 자기의 조절력으로 나안 측정 불가 * 볼록렌즈 착용
조절긴장에 따른 분류
① 전원시:
조절마비제(Atropine) 점안하여 조절기능을 완전히 마비시킨 후 시력이 정상으로 되는
가장 강한 볼록렌즈의 도수(Diopter)
② 현성원시:
조절마비제(Atropine)를 사용하지 않고 정상시력을 얻을수 있는 가장 강한 볼록렌즈의 도수(Diopter)
③ 잠복원시 : 전원시-현성원시의 차
· 잠복원시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현성원시는 증가해서 전원시에 접근한다.
※ 원시는 볼록 렌즈로 처방,
원시도가 강할 경우 장시간에 걸쳐 근업할 경우 전두부와 안부의 압박감 또는 통증을 호소(조절성 안정피로)
난시
① 안광학계의 굴절면이 구면으로 되어 있지 않고 외계의 한점에서 나온 광선이 안저에 한점으로 결상되지않는 눈
② 토릭렌즈로 처방한다
③ 외계의 물점에서 나온 광선이 안광학계에 의해서 굴절한 후 안내에서 점 결상을 하지 않고
전초선,최소착락원(초원), 후초선으로 결상되는 굴절이상 상태를 말한다.
난시의 교정 용어 정리
난시의 분류
전난시 : 안광학계 전체에 생길수 있는 난시
· 각막난시 : 각막의 만곡도의 차이로 생길수 있는 난시 (가장 많고 일반적인 난시임)
· 수정체난시 : 수정체의 만곡도가 틀려서 생기는 난시
· 잔여난시 : 전난시-각막난시= 수정체성 난시
난시의 증상
· 근거리 원기리 모두가 좋지 않은 경우-> 두통호소
· 조절성 안정피로 호소 (눈이 충혈, 속이 메스껍고, 두통)
↳ “난시도가 적을수록 조절성 안정피로는 심하다”
· 원시성 난시, 도난시가 안정 피로가 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