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안경생활 2017. 12. 24. 03:08
728x90

조절(Accommodation)


 각막을 비롯한 모든 굴절매체에 이상이 없는 한 외계에서 오는 모든 광선은 망막상에 선명하게 결상된다. 이러한 영상을 거리의 원,근에 관계없이 항상 선명하고 정확하게 맞추는 작용을 조절이라 한다. 우리 눈에는 모양체근, 모양소대, 수정체낭등의 조절에 관여하는 기관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 기관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수정체의 두께가 조절되며, 그리하여 수정체의 굴절력을 증,감시키게 된다.

 1855년 헤름 홀츠씨의 이완설에 의하면 원방시 상태에서 수정체는 모양소대의 견인에 의해 편평하게 신전되어 얇아지며 굴절력이 약해진다. 또한 근견시에는 모양체근의 수축에 의한 모양소대의 이완되고 수정체는 그 특유의 탄력성 때문에 팽창하여 굴절력을 증가시킨다는것이다.


(1)수정체 조절시의 신경지배


망막중심와에 이른 광에너지는 추체를 자극하게 되고, 추체는 이들 자극을 시신경을 통해 시로를 따라 시중추에 전달한다.

자극을 받은 시중추는 모양신경을 통해 모양신경절로 전달하며, 모양신경절은 단모양신경을 통해 모양체근을 수축 또는 이완하게 한다.


(2) 수정체 조절시의 생리적 변화


 ① 근견시에는 동공괄약근을 불수의적으로 수축시켜 동공을 축소시킨다. 이를 동공반사 또는 폭주반응이라 한다. 축동은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반대로 산동은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② 수정체는 약10%의 범위내에서 두께가 변하게 되며, 전면의 만곡도가 4.5-5.0mm정도 변하게 되고, 수정체는 단일 구면이 아닌 수정체 중앙이 융기하게 된다

 ③ 안압이 약간 상승하며, 과도할때는 녹내장을 일으킬 수 있다.


(3) 조절력


최대 조절시에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눈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를 근점이라 하며, 조절 휴식상태에서 정확하게 망막에 결상되는 외계의 일점을 원점이라 한다. 정시안의 원점은 안전무한거리에 있고, 근시안의 경우는 안전 유한거리에 있으며, 원시안은 안구 후방의 유한거리에 있다.

 조절력은 근점과 원점거릴르 조절할 수 있는 힘으로 diopter(D)로 표시한다.

10세를 기준으로 조절력은 약 13.2D이며 이때의 근점거리는 약7.6cm가 된다. 조절력은 15세전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수정체의 탄력성이 나빠지므로 점차 약하게 된다. 이후 45세에는 조절력이 약 3.4D, 근점거리는 29.4cm로 노안의 시초가 되기도 한다.


(4) 조절장애


 수정체의 조절장애 현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노안, ②조절쇄약, ③조절마비, ④조절경련, ⑤조절긴장증


이들의 주된 원인으로는 수정체의 경화나 모양체근의 근력저하 또는 양자의 합병증이 있으며, 때로는 장시간의 근업시나 조도불량시 또는 조절시간이 불규칙할 때 나타나기도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