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일상/교육학 :: 레드컷

마산대학교 안경광학과 1학년 25년 1학기 수시 고사 & 풀이

슬기로운 안경생활 2025. 4. 12. 02:48
728x90

안녕하세요

마산대학교 25학년 1학년 

수시고사를 위한 사전 자료입니다.

교재 1,2장과 수업시간에 진행한 PPT자료를 참고하시면 될것같습니다.

 

자료는 밑에 첨부해 두었습니다. *_*

1. 다음 중 비정시가 아닌 굴절안은?

근시 원시 ③ 정시 수시 부등시

 

2. 빛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두 개 이상의 평면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투명체를 뭐라고 하나요?

오목렌즈 볼록렌즈 ③ 프리즘
토릭렌즈 원주렌즈

 

3. 빛이 프리즘 통과후 1) 빛의 진행방향과 2) 상의 이동방향으로 바르게 설명 된 것은?

  1) 2)
정각 베이스
베이스 기저
기저 베이스
꼭지 베이스
베이스 정점

 

4. 안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안와의 전방부에 위치한다
정상적인 성인의 평균직경은 24mm이다
③ 출생시 보통 17.5mm 선천축성근시로 태어난다.
안구의 회전반경은 약 50도 정도 이다

안구 전체가 약 +58.64D 볼록렌즈의 기능을 한다

 

5. 근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적굴절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앞에 결상하는눈
조절휴지상태에서 망막에 결상하는 외계의 물점이 눈 앞 유한거리에 있는 눈
③ 근시는 일반적으로 볼록렌즈로 보정한다.
근시가 생기는 원인으로는 보통 축성근시와 굴절성 근시로 나눈다.

각막근시는 각막의 곡률반경이 작을 때 생긴다.

 

5. 원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정적굴절상태에서 평행광선속의 상이 망막 앞에 결상하는눈
원시도와 조절력에 따른 분류로 상대 원시안은 조절성 폭주를 강하게 하면 외사위, 외사시가 발생한다
원시는 일반적으로 오목렌즈로 보정한다.
④ 원시가 생기는 원인으로는 보통 축성원시와 굴절성 원시로 나눈다.

각막원시는 각막의 곡률반경이 작을 때 생긴다.

 

6. 광학중심점을 지나는 모든 경선의 굴절력이 같은 렌즈를 무슨 렌즈라고 하는가?
프리즘렌즈 차폐렌즈 ③ 구면렌즈
토릭렌즈 원주렌즈

아래 설명에 대한 용어를 찾아서 적어시오.

전초선 최소착란원 강주경선
등가구면 주경선 후초선
스텀간격 약주경선 초선

 

7. 토릭렌즈에서 굴절력이 가장 강하거나 가장 약한 두경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5. 주경선

8. 토릭렌즈의 두 주경선 중 굴절력이 약한 경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8. 약주경선

9. 토릭렌즈의 두 주경선 중 굴절력이 약한 경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8. 약주경선

10. 토릭렌즈의 두 주경선 중 굴절력이 강한 경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9. 강주경선

12. 토릭렌즈의 두 주경선 방향으로 입사한 광선이 만드는 두 초점 위치에 있는 선모양의 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9. 초선

13. 토릭렌즈의 두 초선중 강주경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초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1. 전초선

14. 토릭렌즈의 두 초선중 약주경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초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6. 후초선

15. 전초선과 후초선간의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

7. 스텀간격

16. 양초선거리의 조화평균 위치에 있으며, 망막에 있을 때 가장 선명한 상을 얻을수 있는곳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2.최소착락원

17. 난시안에서 토릭렌즈로 처방할수 없는 경우 구면렌즈로 처방하는 값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4. 등가구면

 

18. 안경광학계 전체에 생길수 있는 난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전난시 수정체난시 잔여난시
각막난시 직난시

19. 먼곳의 물체를 보고 있어 눈의 평행 광선속이 입사하는 상태로 수정체와 안경광학계 전체의 굴절력이 최소가 되어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정적굴절상태 동적굴절상태 굴절이상상태
최대동적굴절상태 조절상태

 

20. 다음 중 안구부속기가 아닌 것은?

① 시신경 안검 누기
결막 안근

 

21. 안구의 전체 굴절력으로 맞는 것은?

+ 58.64D 오목렌즈
+ 58.64D 볼록렌즈
- 58.64D 볼록렌즈
- 58.64D 오목렌즈
0 58.64D 오목렌즈

 

22. 빛이 모이고 퍼지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용어는?

① 버전스 굴절률 프리즘
렌즈 디옵터

 

23. 주경선의 방향에 따른 난시 분류중 강주경선이 90°일때의 난시를 무슨 난시라고 하는가?

도난시 조난시 ③ 직난시
사난시 부정난시

 

24. 주경선의 방향에 따른 난시 분류중 강주경선이 180°일때의 난시를 무슨 난시라고 하는가?

도난조난시 직난시
사난시 부정난시

 

25. 주경선의 방향에 따른 난시 분류중 강주경선이 45-135°일때의 난시를 무슨 난시라고 하는가?

도난시 조난시 직난시
④ 사난시 부정난시

 

26. 근시안를 보정하는 렌즈를 무슨 렌즈라고 하는가?

프리즘렌즈 볼록렌즈 ③ 오목렌즈
토릭렌즈 원주렌즈

 

728x90

 

27. 원시안를 보정하는 렌즈를 무슨 렌즈라고 하는가?

프리즘렌즈 ② 볼록렌즈 오목렌즈
토릭렌즈 원주렌즈

 

28. 난시안를 보정하는 렌즈를 무슨 렌즈라고 하는가?

프리즘렌즈 볼록렌즈 오목렌즈
④ 토릭렌즈 차폐렌즈

29. 토릭렌즈의 표기법이 아닌 것은?

C.C표기법 S-C 표기법
S+C 표기법 ④ OU표기법

30. 안경 조제 및 가공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약사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조제하는 것과 같은 뜻이다.
안경테를 만드는 제조와 뜻이 같다
안경렌즈를 생산하는 의미이다.
④ 안경을 필요로 하는 개개인에게 가장 알맞은 테와 렌즈를 알맞게 조합한다는 뜻이다.

눈의 시각 상태를 검사하는 것이다.

31. 손님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안경조제가공의 요소는?

. 광학적 요소 나. 미적요소
. 해부역학적 요소 라. 물리적 요소

 

① 가, 나, 다 , ,
, , ,

 

32. 조제 및 가공의 3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광학적 요소 해부학적 요소 미적요소
물리적 요소 전신체적 요소

 

33. 조제 및 가공의 광학적 요소가 아닌 것은?

앞 수평면 휨각 경사각 조가 P.D.
조가 O.H. ⑤ 피팅

 

34. 안경테가 정해진 후에야 그 값이 결정되는 것은?

가입도 (Add)

구면교정렌즈의 굴절력 (S)

실린더교정렌즈의 굴절력 (C)

프리즘교정렌즈의 기저방향 (Base)

⑤ 광학중심점높이 (Oh)

 

35.조제가공시에 안경사가 반드시 행해야 하는 안경처방의 약속사항은 어떤 것인가?

P.D. 측정 (P.D.)

구면렌즈 굴절력 (S)

실린더렌즈 굴절력 (C)

실린더렌즈의 축경선 방향 (A)

⑤ Oh측정 (Oh값)

36. 안경처방서(Optometric Prescription)의 명기사항은?

구면렌즈의 상측초점거리

구면렌즈의 물측초점거리

구면렌즈의 상측초점 위치

구면렌즈의 물측초점 위치

⑤ 구면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

 

37. 다음 중 반드시 처방서에 기입해야 할 명기사항인 것은?

경사각(Pantoscopic Angle)

정점간거리(Vertex Distance)

③ 교정실린더렌즈의 축경선 위치

나안시력

교정시력

 

38. 다음 안경처방서(Optometric Prescription)에 명기하지 않는 약속사항은?

① 광학적 요소를 충족시킬 크기의 렌즈를 선택할 것

실린더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

구면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

프리즘의 기저방향

실린더렌즈 축경선 위치

 

39. 안경처방서의 약속사항으로만 묶인 것은?

. 원주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
. 광학중심점 높이 측정
. 동공간 거리
. 필요렌즈의 최소직경

, , , ③ 나, 라
, , ,

 

40. 양안시에 관련된 안경처방시의 부차적 표기는?

. 우세안(Dominant Eye)
. 폭주근점(N.P.C.)
. 안위검사 결과
. 융합력검사 결과

, , , ,
⑤ 가, 나, 다, 라

 

41. 부차적인 안경처방서의 명기사항 가운데 총체적 폭주력을 살필 수 있는 것은?

우세안(Dominant Eye)

가림벗김검사 결과(C.U.T.)

③ 폭주근점 거리값(N.P.C.)

원거리안위 검사값

조절래그값(Accommodation Lag)

 

42. 안경처방서의 명기사항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동공간거리(P.D.)와 정점간거리(V.D.)중 하나만 표기해야

한다.

프리즘굴절력은 반드시 표기하되 기저방향은 생략해도

좋다.

구면렌즈는 상측주점굴절력을 표시해야 한다.

실린더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은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⑤ 원용, 근용 또는 용도별 구분은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43. 안경처방서에서 사용하는 영문약호의 뜻이 잘못된 것은?

S 또는 Sph : 구면렌즈 굴절력

C 또는 Cyl : 실린더렌즈 굴절력

P.D. : 동공간거리

④ △ : 경선의 타보식 방향각의 크기

Plano : 0.00D의 렌즈

 

44. 안경처방서(Optometric Prescription)에서 'C'로 표기된 영문약호는?

구면렌즈 굴절력

프리즘굴절력

③ 실린더렌즈 굴절력

축경선의 타보식 방향각

버전스(Vergence) 크기

 

45.안경처방서(Optometric Prescription)에서 '원용양안 P.D.'의 약호로 사용되는 것은?

N.B.P.D.

② D.B.P.D.

R.P.D.

L.P.D.

D.M.P.D.

 

46. 안경처방서의 표기 약호로 '좌우단안 P.D.'의 크기가 같을 때 '근용단안 P.D.'를 뜻하는 약호로 취할 수 있는 것은?

D.B.P.D.

N.B.P.D.

③ N.M.P.D.

D.M.P.D.

P.D.

 

47.처방서에 쓰여지는 영문약호 'V.D.'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점간거리(Vertex Distance)를 말한다.

안경렌즈의 상측정점과 각막정점 사이의 거리를 mm

나타낸 것이다.

동양인의 평균치는 12 mm이다.

④ P.D.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이 값이 변하면 교정효과가 변한다.

 

48.처방서에 표기되는 영문약호 'P.D.'의 의미로 옳은 것은?

① 좌우 동공중심간거리

정점간거리

다리길이

동공 직경길이

테의 렌즈삽입부 중심간거리

 

49.양안의 안구회선점 간의 직선거리를 나타내는 것은?

원용 P.D.

② 조가 P.D.

기준 P.D.

생리학적 P.D.

근용 P.D.

 

50. 자세한 검사기록이 되어있는 부차적 안경처방서에서 폭주근점으로 흔히 사용되는 약호는?

① N.P.C.

N.P.A.

V.A.

N.L. V.

Ac Lag

 

51. 난시교정용 원주렌즈의 축방향 표기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기호는 [Axis], [Ax], [A], [], [] 등으로 표기한다.
. 원주렌즈 축방향이 190°이면 Ax 10°로 표기한다.
. 축방향 180Hor, H, 로 표기할 수도 있다.
. 축방향 90Verz, 로 표기하기도 한다.

, , , ,
⑤ 가, 나, 다, 라

 

52. 가입도 Add 표기가 필요한 렌즈는?

원거리전용

근거리전용

중간거리용

④ 원근 양용

상용

 

53.안경처방서 표기약어 'O.U. O.D. O.S.'의 뜻은?

① 양안 → 우안 → 좌안

양안 좌안 우안

좌안 양안 우안

우안 양안 좌안

좌안 우안 양안

 

54. 처방서에서 오른쪽 눈을 뜻하는 표기가 아닌 것은?

우안 R. ③ O.S.

R.E. O.D.

 

55. 처방서 표기에서 양안 모두를 뜻하는 것은?

O.U L.E O.S.

R.E. O.D.

 

56. 안경처방서 표기 약호로 "O.D.: 1, BI "과 같은 내용은?

R:1,Base 180°

L:1,Base 0°

③ R:1△, Base 0°

L:1,Base 180°

R:1,Base 90°

 

57.처방 'O.U.: S-4.00D 2, B.O.' 처방과 같은 내용은?

O.D.: S-4.00D 1,Base 0°

O.S.: S-4.00D 1, Base 180°

O.D.: S-4.00D 1, Base 180°

O.S.: S-4.00D 1, Base 0°

O.D.: S-4.00D 2, Base 0°

O.S.: S-4.00D 2, Base 180°

④ O.D.: S-4.00D ⁐ 2△, Base 180°

O.S.: S-4.00D ⁐ 2△, Base 0°

O.D.: S-2.00D 2, Base 180°

O.S.: S-2.00D 2, Base 0°

 

58. 다음 중 용어 설명이 옳은 것은?

. 기준 P.D. : 안경렌즈의 상측정점과 각막의 정점 사이를
mm단위로 나타낸 것
. Ax : 실린더렌즈 축경선은 굴절력이 OD인 약주경선의
타보식 방향각의 크기
. Add : 실린더렌즈 굴절력에 더 추가해야 할 굴절력
. 조제가공 P.D. : 각막 정점에서 12 mm 떨어진 좌우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간거리

, , , ③ 나, 라
, , ,

 

59. 위치를 나타내는 타보(T.A.B.O.)식 방향각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시계침 회전각의 크기로 나타낸다.

측정자 측에서 시계침 회전방향으로 각을 측정한다.

오른쪽 눈은 귀에서 코쪽으로, 왼쪽은 코에서 귀쪽으로

측정한 각의 크기로 위치를 나타낸다.

④ 오른쪽은 마주본 위치에서 구만국식 측정 약속이 같다.

해석기하학에서 위치를 나타내는 극좌표방식과 다르다.

 

60.정점간거리(V.D.)는 어느 곳들의 간격이며 동양인의 평균값은?

안경렌즈의 물측정점에서 각막정점, 12mm

② 안경렌즈의 상측정점에서 각막정점, 12 mm

안경렌즈의 상측정점에서 각막정점, 10 mm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중앙에서 안구회선점, 10 mm

안경렌즈의 중심두께 중앙에서 안구회선점, 12 mm

 

61. 다음 여러 P.D.값에서 조제가공할 때 사용할 가장 정확한 것은?

해부학적 P.D. ② 조준선 P.D.

동공중심선 P.D. 각막윤부 P.D.

동공연 P.D.

 

62. 오른쪽 눈의 귀방향 각막가장자리에서 좌안 코방향 각막가장자리까지 측정한 P.D.?

조준선 P.D.

생리학적 P.D.

③ 동공중심선 P.D.

각막윤부 P.D.

동공연 P.D.

 

63. 좌우안의 조준선간 수평거리는?

조준선 P.D.

생리학적 P.D.

③ 동공중심선 P.D.

기준 P.D.

조제가공 P.D.

 

64. 손님이 펜라이트의 불빛을 보도록 하여 측정한 P.D.값은?

기하학적 P.D.

② 생리학적 P.D.

동공중심선 P.D.

각막윤부 P.D.

동공연 P.D.

 

65. 동공중심선 P.D.의 또다른 이름은?

① 해부학적 P.D.

조준선 P.D.

조가 P.D.

주시거리 P.D.

단안 P.D.

 

66. 독서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공에서 12 mm 떨어진 곳의 좌우 눈의 조준선간 수평거리는?

D.M.P.D. D.B.P.D. N.M.P.D.

N.B.P.D. D.L.P.D.

 

67.'기준 P.D.'를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것은?

양조준선이 5m 전방의 정중정면의 주시점을 보고 있을 때,

좌우 동공중심간 거리

② 좌우 안구회전점간 수평거리

임의의 주시점을 보고 있을 때의 좌우 동공중심간 거리

쓰고 있는 근용안경의 좌우 렌즈의 광학중심점간 거리

쓰고 있는 원용안경의 좌우 렌즈의 광학중심점간 거리

 

68.'조가 P.D.'를 정확하게 설명한 것은?

양조준선이 5m 전방의 주시점을 향하고 있을 때

좌우 각막반사상간 거리

양조준선이 직전방으로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 잰

좌우 동공중심간 거리

임의의 주시점을 보고 있을 때 같은 방향의 각막윤부간

거리

④ 조제된 좌우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간 거리

좌우 콘택트 렌즈의 광학중심점간 거리

 

69.'조가 P.D.'의 정확한 뜻은?

좌우 눈의 조준선이 평행한 상태에서 좌우 동공간거리

② 좌우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간 거리

눈앞 12mm 전방에 있는 물체를 볼 때의 좌우동공중심간거리

측정 기준 P.D.와 그 뜻이 같다.

눈 앞 33.3cm를 주시할 때의 동공중심간거리

 

70. 왼쪽의 프리즘처방에서 기저내방(B.I.)T.A.B.O.

방향의 각도로 표기하면?

Base 0° Base 45° Base 90°

Base 135° ⑤ Base 180°

 

71. 동공중심선 P.D.는 눈의 어느 곳을 측정점으로 하여야 하는가?

① 동공중심 각막가장자리

각막반사상 내안각 외안각

 

72. 안경처방서의 명기사항으로 옳은 것은 ?

. 원용, 근용, 상용 혹은 독서용 등의 용도별 거리 표시.
. 광학적 중심 높이.
. 정점간거리.
. 필요한 최소 렌즈직경

, , ② 가, 다 ,
, , ,

 

73. 안경처방서의 명기사항으로 옳은 것은 ?

. 프리즘 처방시 프리즘 기저하방을 Base270 °로 표기 할 수 있다.
. 원주렌즈 축방향이 200° 일 경우 Ax 20° 로 표기하고, 20° 라고 읽는다.
. 프리즘 처방시 프리즘 기저방향 표기는 360 °까지 유효하다.
. 축 표기는 360° 까지 유효하다.

, , , ,
⑤ 가, 나, 다, 라

 

74. 굴절력이 없는 렌즈의 표기방법으로 옳은 것은 ?

. Sph 0.00D . Plane . plano O.C.C

① 가, 나, 다 , ,
, , ,

 

아래 설명에 대한 용어를 찾아서 적어시오.

V.D Plano OCC O.S.
O.U. O.D. ADD OH

75. 빛을 전부 또는 일부차단 시키는 검사용 및 시기능 훈련용렌즈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

3.OCC

76. 각막정점과 안경렌즈의 상측정점간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

1. V.D

77. 처방서에서 오른쪽 눈을 표시하는 표기약어는?

6.O.D.

 

78. 처방서에서 왼쪽 눈을 표시하는 표기약어는?

4. O.S

 

79. 처방서에서 양쪽 눈을 표시하는 표기약어는?

5. O.U

 

80. 굴절력이 없는 안경렌즈를 표시하는 표기약어는?

2. Plano

 

81. 원근양용의 다초점렌즈에서 근용안경의 구면굴절력을 구할 때 원용안경의 구면굴절력에 더 추가해야 할 굴절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

7. ADD

82. 안경테의 하부림의 제일 낮은 홈점 또는 동공중심 바로 아래의 힘 홈점에서 동공중심의 각막반사상까지의 수직길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

8. O.H

아래 설명에 대한 용어를 찾아서 적어시오.

원용안경처방 근용안경처방 프리즘안경처방

83. 안경 처방서에서는 근시, 원시 그리고 여러난시등의 비정시를 교정 목적으로 하는 안경 처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원용안경처방

 

84. 안경처방서에서 조절력보정 즉 노안용 안경 처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 근용안경처방

 

85. 안경처방서에서 사위 보정을 위한 처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 프리즘 안경 처방

 

86. S-2.00DC-0.75D, AX180°

방식 표기전환 C.C표기 경선표기 망막상표기/ 난시종류
S±C     ( ) 주경선 ( ) 주경선  




( )D




( )D
 

 

 

2007년 마산대학교 입학
2014년 마산대학교 시간강사
2015-22년 김천대학교 겸임조교수 & 동문장학금 지급
2018년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과정 입학
2023년 마산대학교 시간강사
2024년 마산대학교 겸임교수 

현) 2014년 다비치안경 대구동성로점 대표안경사 ~

 

 

문제 원본 파일은 아래에...

2025학년도 1학기 수시고사 (1학년 B반).pdf
0.21MB

 

 

 

 

 

정답은 아래에...

2025학년도 1학기 수시고사 풀이 (1학년 B반).pdf
1.90MB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