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대학교 수업 자료 2주차 (23.03.13)
마산대학교 안경조제가공 & 실습 2주차 자료 입니다
1. 안경사란?
-안경사는 1987년 11월 28일 의료기사법이 공포되어 국가면허시험에 의해 면허를 취득
=> 안경사 제도가 도입되고 난 후 "전문
보건인"으로서의 위상이 확립됨
-안경사는 안경(시력보정용에 한정)의 조제 및 판매와
콘택트렌즈(시력보정용이 아닌 경우를 포함)의 판매를 주된 업무로 하는 사람으로,
고객에게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처방하고 맞추어 주며,
시력보조구의 사용법을 알려주는 자를 말한다.
2. 안경사의 수행직무
-안경사는 안경(시력보정용에 한정한다. 이하 같다)의 조제 및 판매와
콘택트렌즈(시력보정용이 아닌경우를 포함한다. 이하같다)의 판매에 관한 다음의 구분에 따른 업무를 수항핸다.
1) 안경의 조제 및 판매 (다만, 6세 이하의 아동을 위한 안경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조제, 판매해야 함)
2) 콘택트의 판매 (다만, 6세 이하의 아동을 위한 콘택트렌즈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판매해야 함)
3) 안경, 콘택트렌즈의 도수를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는 자각적(주과적)굴절검사로서 약제를 사용하지 않는 검사
4. 안경, 콘택틀네즈의 도수를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는 타각적(객관적) 굴절검사로서 약제를 사용하지 않는 검사 중 자동굴절검사기기를 이용한 검사
5. 그 밖의 안경의 조제 및 판매와 콘택틀네즈의 판매에 관한 업무
3. 진로 및 전망
▶ 안경원 종사 및 창업
일반 안경원을 개원하거나 또는 안경원 종사안경사로 근무할 수 있음.
▶ 렌즈관련업체
현재 유통되고 있는 렌즈 (안경렌즈 및 콘택트렌즈)업체에서 활동 할 수 있음.
▶ 광학연구소
안광학과 관련된 렌즈개발 또는 연구활동을 할 수 있음.
4. 최근 5년간 안경사 국가시험 합격률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