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안경생활 김천대 안경광학과 용어정리
1) 기준 PD(=원용 P.D. Distance P.D.)
: 원칙적으로 좌우 안구의 회전 점 사이를 mm 단위로 잰 수평거리 값이다.
(하지만 안구 회전 점 거리가 정의이지만 안구 회전점을 눈으로 측정할 수 없어 동공~동공 간의 거리 측정으로 한다.)
2) 원용 양안 P.D
: 원거리를 보고 있을 때의 mm도 잰 좌우 동공 중심점간거리, 즉 렌즈에서는 설계점 간 거리
표기) D.B.P.D
3) 근용 양안 P.D.
: 근거리를 보고 있을 때의 안경 렌즈 면에서 mm로 잰 좌우 동공 중심점간거리
즉, 렌즈에서는 설계점 간 거리
표기) N.B.P.D
3) 디옵터 (Diopter)
: 안경 렌즈가 유효광선속을 모이거나(수렴) 퍼지게(발산) 하는 버전스를 변화시키는 힘이다.
즉, 굴절력의 단위로 디옵터를 사용한다.
안경 렌즈는 상측 정점굴절력의 단위이다. *공식 D= 1/초점거리(m)
기호) Diopter, D, Dptr 표기) S+1.00D, C+0.25D
*표기 적을 때 주의사항 부호기입과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꼭 적어야 한다.
4-1) 프리즘디옵터 (Prism Diopter)
: 프리즘 굴절력의 단위로 유효광선속이 렌즈의 임의 위치에서 광선이 꺾이는 힘이다.
즉, 편위각의 크기이다.
유효숫자는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로 0.1 프리즘디옵터 단위이지만, 실무에서는 0.5 프리즘디옵터 단위로 쓴다.
기호) ▵ 또는 P 표기) 1.0▵, 2.5P
4-2) 베이스(Base)
: 프리즘의 기저방향으로 좌우 두 눈의 동공 중심점 또는 안경 렌즈의 설계 점을 기준으로 프리즘의 가장 두꺼운 가장자리 즉, 기저가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가를 T.A.B.O식 방향각으로(시계 반대 방향) 나타낸다.
표기는 360도 전 각도를 1도 단위로 표기한다.
Base의 위치는 수평 방향의 0도, 180도 수직 방향의 90도, 270도 방향이 있다. 이 네 방향을 타보식으로 표기하지 않고 코 방향 In, 귀 방향 Out, 위 Up, 아래 Down으로 적는다.
표기) ‘2.5▵,B.I.’ ‘1.0▵,Base 0도’
*프리즘 굴절력 단위 ▵와 베이스 방향의 쉼표(,)로 연결하여 방향과 크기를 가진 것을 벡터량이라 한다.
오른쪽 눈의 기호) 우안, O.D., Right Eye, R.E, R
왼쪽 눈의 기호) 좌안, O.S., Left eye, L.E, L
양안 기호) 양쪽 눈, O.U
7) 정점 간 거리
: 안경의 착용 시 상측정점으로부터 각막의 정점까지의 거리(=상측정점 간 거리)
정점 간 거리는 안경 교정 굴절력에 영향을 가진다. (+,-4.00미만의 굴절력을 가진 사람은 0.25D의 차이가 나지 않아 렌즈와 안경의 굴절력이 같다. 하지만 이 범위가 다른 경우 굴절력이 다르다.)
동양인은 12mm, 서양인은 13mm로 이미 정하고 있어 명기 사항이지만 기록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정점 간 거리가 특별하게 길거나 짧을 때는 명기한다.
기호) VD
8) 처방의 각각의 렌즈에서 연결 표기
(= 구면렌즈와 원주(실린더)렌즈, 프리즘렌즈)
: 처방서에서는 Sph, Cyl, P 등의 기록란이 나뉘어 있어 숫자만 기록하지만, 양식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 표기를 이용하여 연결 기록한다.
기호 : ⁐ Combination, 조합
ex) S-2.00D ⁐ C-1.00D, Ax180도 ⁐ 1▵,BI
구면렌즈 1매, 실린더 렌즈 1매, 프리즘렌즈 1매로 3매의 검사 렌즈를 겹치어 합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지닌 한 장의 등가토릭렌즈이다.
표기) ‘+2.0 + 1.0 * 90’
조합기호의 의미 : 일차적으로는 안경 처방 검사를 할 때 사용된 검사 렌즈의 종류와 렌즈 숫자,
이차적으로는 여러 장의 검사 렌즈와 같은 광학적 효과를 지닌 한 장의 등가 렌즈로 조제 가공하라는 뜻이다.
2) 평면 렌즈의 표기
: 평면 렌즈는 굴절력이 0인 렌즈를 말한다.
기호) Plano, Plane, S 0.00D
3) 차폐 기호
: 차폐 렌즈 Occluder lens는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렌즈로 검사용 및 시기능 훈련용이다.
기호) Occ ex) 약시인 경우
PD 설명
기준 PD : 눈은 좌우 안구회전점간 수평거리이다.
동공 중심선 PD (= 해부학적 PD) : 조준선이 평행할 때의 두 눈의 동공 중심 간 거리이다.
조준선 PD (= 생리학적 PD) : 주시선이 지나는 좌우 각막반사상 간의 거리이다.
4. 조제 가공 PD : 각막 정점에서 12mm 떨어져 위치하는 좌우 안경 렌즈의 광학 중심점 간 직선거리
광학 중심점 높이 (=OH)
: 안경테의 하부림에서 제일 낮은 홈점 또는 동공 중심 바로 아래의 홈점 ~ 각막 반사상까지의 거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