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대학교 안경광학과 안경맛집
지난학기는 연휴의 여파로 대면수업 일수가 다른 학기보다 조금 적었네요. ㅠㅠ !
하지만 보강은 다음으로 연기하더라도 이번주 부터 시작하는 중간 고사 대비 리마인드 시간을 가져 볼까 합니다!
첫번째로 조제 및 가공의 흐름의 전체적인 흐름도에 대해서 숙지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1) 설계점을 설정하는 예비과정
2) 렌즈미터를 이용하여 가공할 렌즈에 인점찍기
3) 테의 형판 만들기 작업은 수동옥습기를 이용할때 하는 작업이지만 학교에서는 실습을 해야 하므로 꼭 숙지해야 합니다.
4) 만들어진 형판에 설계점을 만들고
5) 형판에 맞추어서 렌즈를 자라고 다름기를 해야 합니다. 이 작업시 또한 다치지 않도록 조심!!!
6) 다듬기가 끝난 안경렌즈를 가장자리 갈기와 산각 세우는 실습을 하면 되는데 주로 중산각을 이용하면 될것 같습니다.
물론 안경테에 따라서 산각의 모양을 달라지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7) 제대로 산각 가공이 완료 되었으면 안경테에 렌즈를 끼우고
8) 마무리 작업 전에 확인 / 수정 작업을 하면 작업은 완료 됩니다.
9) 인계시 가공후 피팅과 함께 사용법 설명하면 우리 안경사의 임무는 완료!!! ^_^
일반적인 안경렌즈에 대한 정보는 안경봉투를 참고하시면 되는데 기본적인 사양은 다 알고 있지만
그래도 제조사 마다 다르므로 한번씩 체크해 두세요!!1
난시의 종류를 분류 하는 방법을 알아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주경선에 따라서 분류하는 방법은 기존이 강주경선의 방향에 따라서 직난시, 도난시, 사난시로 분류가 되고
양초선의 위치에 따라서는 주경선의 한쪽이 정시인 난시를 단성난시, 주경선의 양쪽 모두 같은 성질을 가지면 복성, 서로 다르면 혼합성으로 분류 할수 있습니다.
보통 안경원에서는 자동렌즈미터와 수동렌즈미터가 있는데 학교에서 실습일때는 수동렌즈미터를 자주 보는것을 권장해 드리고 매장에서 가서는 자동렌즈미터를 활용 잘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_*
그래서 수동렌즈미터의 용어는 필수적으로 암기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_*
항상 렌즈미터 사용전에 #시도조정환을 셋하는 습관을 길러 주시면 탱큐 합니다.
아래 장표는 S-C 식의 전환 및 토릭렌즈의 표기법을 설명한 것입니다.
이러한 내용을 꼭 숙지해 주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
1) S-C <=> S+C식으로 전환
2) 토릭렌즈 표기법 3가지
3) 난사의 종류 및 망막상 표기
4) AX축이 의미하는 것
수동렌즈를 보시고 S-C식으로 전환하는 방법도 꼭 알아 두시면 좋을것 같습니다.